자유게시판

  • HOME
  • 자유게시판
  • 알려드립니다.
  •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준수합니다.
  • 회원은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과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 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,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주민번호, 휴대폰번호, 집주소, 혈액형, 직업 등의 게시나 등록을 금지합니다.
  • 만일 위와 같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게시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
제목

-정약용, 詩 '치교에게 보내다'
작성자박형상 작성일2012/11/01 11:08 조회수: 312

정약용 ㅡ'치교 穉敎'에게 보낸다.





-詩, '寄 穉敎 (기 치교)'-치교에게 보낸다.

강진 유배 십년째 1810년,

나이 오십,'지비 知非'에 들어가며 정약용이 쓴 詩이다.

그 詩에 관련한 전후 사정을 얼마간 이해한다면  

그 시절 다산 선생의 심정이 훨씬 가슴에 와 닿겠다.



詩 제목에 '치교 穉敎'라는 인물이 등장하여 

처음에는 정약용과 그 같은 해에 문과급제한,

'치교 심상규(1766~1838)'로 오해할만 했다.

그러나 아니었다. 

(한국고전번역원 역본에는 '치교'에 관한 어떤 설명도 일절 없었다)



살펴본다.

필자는 앞의 다른 글, <정약용과 '정수칠,이관기'(1)>에서 그렇게 주장했다.

정민 교수가 공개한, 정약용이 "관성冠城 예여汭旅"에게 보낸 편지의 수신자는

'장흥 제자 정수칠'이 아니다,

그 같은 유배객으로 '戚'관계에 있는 '이관기 李寬基'일 것으로 추정했다.



'관성 冠城'이란 명칭은 '장흥의 별호- 관산(冠山)'과 통하는 것이고,

'예여汭旅'는 장흥읍을 흐르는 '예양강(汭陽江)의 客人,旅人'을 지칭한다.

마침 '寄 치교'에서도 '유배객'을 '나그네, 旅'에 빗댔다.



 요컨대, 그 '장흥(관성)에 보낸 편지'의 수신자가 여기 詩題에 나오는 '치교'이다.

여기 '치교'에게 부치다'라는 詩의 수신 당사자는 '치교 이관기 李寬基'이다.



'치교'가 과연 '이관기'의 '자, 호'인지 그 확실한 문헌 근거는 못 보았지만

다음의 여러 사정들은 "장흥 유배객 이관기"가 그 '치교'라는 사정를 뒷받침해준다.



 정약용은 '장흥의 누군가'에게 보내는 그 편지에서 '戚' 관계라 말했는데 

詩,'치교에게 보내다'의 서두에서도

"나의 증조부가 그대의 증외조"라는 '戚 관계'로 그 말문을 열고 있다.

(그 당시 순조실록 등에도 '정약용,이관기를 포함한 그 여섯 유배객들'은 

서로 인척관계이다'고 언급되어 있다)



 이번 기회에 다시 더 살펴보니, 이관기의 모친이 '나주 정씨'이고,

정약용의 작은 할아버지 '정지눌의 외손'이었다.



 또 "둘 다 '남토 南土'로 표락된 신세"라는 문구가 나오는데,

'1801년 신유사옥 冬獄 (황사영 백서사건)' 여파로 둘 다 남녁 지방에 유배되었다.

'정약용은 강진'으로, '이관기는 장흥'으로 나뉘어 유배되었다.



 또 "서로간에 30리 거리"라는 말이 나오는데, 그 부분도 대략적으로 부합한다.

강진 장흥의 읍간 거리는 20리 남짓이나,

'강진군 도암면 다산 초당'과 '장흥군 어느 配所'를 고려하면 '상거 삼십리'도 무방하겠다.



 또 '치교 이관기'는 그 본관이 '연안 이씨'인데,

詩에 나오는 "연원延原, 연능延陵"은 바로 '연안 이씨'와 관련한 지명,명칭이다.

연안 이씨 집안의 큰 인물로

연원(延原)부원군 이광정(1552~1627), 연능(延陵)부원군 이호민(1553~1634)이 있다.

詩에 나오는 "서쪽 사람들 지금도 생각한다"는 내용은 그들 본관이 '연백(연안)'으로 

'西道' 출신이어서 '황해도 西道사람들이 그렇게 생각한다'는 표현이다.



 정약용은 크게 한탄한다.

"삽십리 지척에도 불구하고, 마치 촉나라와 노나라 사이의 먼 거리이듯,

십년이 되가도록 한번도 만나지 못했다..."



"그 옆에 '천권의 책'을 쌓아두었다,

주역의 '삼오參伍'를 궁구한다"



 "어떻게하면 그대의 소매를 잡고, ..웃는 얼굴로 맑은 술잔 비우며,

속에 쌓인 말 털어놓을 수 있나...."라 했다.



아, 

고향 돌아가는 길은 너무 멀고 아득하기만 하여 

이제는 마음을 접고,

"죽으면 의당 이땅에 묻히겠지"라 포기하려니

그 유배살이의 참담함이 오죽했을까.



강진 유배객 정약용 선생은 

동병상련의 정, 

해묵은 병(沈疴)의 아픔으로

바로  옆고을 '장흥 유배객 이관기'와 

그 <관성 예여  편지>를 주고 받았던 것이다.



추측 하나 더.

그 두 사람간에 오가는 편지나 물건(茶) 심부름은 

바로 '장흥 제자 정수칠'이 맡아 했었겠다.

이하, 詩 <記 치교>를 소개한다.



 

ㅡ'치교'에게 부치다.

[寄 穉敎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정약용



나의 증조부가 / 我之曾祖父

그대로는 증외조지 / 爾之曾外祖

골육같이 깊은 사랑 / 骨肉有深愛

계보가 같은 뿌리란다 / 群芳本同譜



우리가 다 南으로 와서 / 與爾皆南征

둘 다 이 땅에 떨어져 있는데 / 雙飄落玆土

서로 삼십리 거리에 있으면서 / 相去三十里

멀기가 '파'와 '노'만 같아 / 邈若巴與魯

지금 十 년이 다 되도록 / 如今十年滿

한 번도 만나보지 못하다니 / 未敢謀一覩



하늘 땅 사이 그 얼마나 넓어도 / 二儀許大寬

새들은 날개치고 춤추는데 / 禽鳥浩翔舞

어찌해서 꼼짝 못하게 얼어붙어 / 如何溓不起

끝까지 그대로 서 있어야 한다던가 / 植立以終古

발이 묶인 불쌍한 참새도 / 哀哉縛足雀

하늘을 차고 날 날개야 없으랴만 / 豈無沖天羽

그물에 걸린 고기를 그대 보았지 / 君看掛網魚

물풀 찾아 모일 엄두 내겠던가 / 暇念藻荇聚

예부터 호랑이에게 물린 자는 / 由來傷虎者

방에서도 늘 호랑이가 보이는 법 / 密室常見虎



들리는 말로는 조정 논의들이 / 傳聞廊廟議

우리의 애매함을 알고는 있으면서 / 頗知枉罹苦

애써 구제하려고는 들지 않아 / 但無力拯志

말을 한대야 늘 아양이나 떤다네 / 所言恒媚嫵



두레박줄은 짧고 우물은 깊은데 / 繘短井更深

시원한 물 무슨 수로 긷겠는가 / 安能巽水取

말 달리듯 세월은 빨라 / 流光疾若馳

어느새 늙고 병들어가는데 / 荏苒迫摧腐

비구름 서교에 일어 / 密雲自西郊

어느 때나 비가 쏟아지려는지 / 何時作雷雨



弱妻는 황야에서 울부짖는데 / 弱妻野號咷

승냥이와 이리들은 되레 화를 내고 / 豺狼猶盛怒

흉년 들어 먹을 것 없는 백성들 / 凶年民食絶

쌓인 시체가 숲 속에 버려졌다네 / 積尸委蓁莽

잘살던 자들도 의지할 곳 없는 판인데 / 安居尙顚連

나그네(旅)가 곤궁 면할 턱 있는가 / 旅瑣那免窶



가까운 친척도 눈이 다 차갑도록 / 姻親眼俱冷

야박해진 풍속 말도 못하지 / 衰俗不可數

통하는 자가 먼 친척보다 나은 경우도 있어 / 疏者或踰戚

관곡 먹으며 마을에 붙어 있지 / 館穀寓村塢

밥이야 그런대로 창자 채우지만 / 糲飯雖充腸

해진 옷에 찬바람이 분다네 / 寒風吹破裋



'충주'와 '천원'은 떨어져 있어 / 忠州隔川原

높은 산에 올라 부모 계신 곳 바라보면 / 悒悒躋屺岵

마음은 슬퍼지고 뼈가 찌릿한데 / 心悲骨髓酸

하늘에는 가을 구름이 날았다네 / 秋雲飛玉宇



그대 선조는 후덕한 분이었고 / 念爾祖德厚

화려한 벼슬도 그치질 않았지 / 蟬聯赫簪組

'연원'은 청백리에 기록되었고 / 延原錄淸白

'연릉'이 다시 그 뒤를 이어 / 延陵復繩武

西쪽 사람들 지금까지도 / 西人到今思

따뜻하게 감싸준 德 생각하고 있다네 / 德力深煦嫗

자녀 교훈에도 소홀함이 없었고 / 惠訓旣不倦

왕실에도 많은 공로 쌓았으니 / 謨勳在王府

十대까지는 죄 있어도 용서할 만한데 / 世宥宜至十

五대도 못 가서 그 은택이 끊기다니 / 澤斬嗟未五



젊어서부터 동량 재목이었는데 / 英年棟梁材

늙도록 罪에만 시달리다니 / 到老淹罪罟

陶山 詩나 하나하나 화답하며 / 細和陶山詩

물려받은 조상의 법도나 따르게 / 悵望追繩矩



나는 나이 벌써 '오십'이 다 되어 / 吾衰逼知非

백년에 이미 절반을 살았으니 / 百年已亭午

앞으로 산대야 얼마 더 살겠는가 / 自知壽不長

겨우 실오라기 같은 숨 남아 있는게지 / 所殘僅一縷



다행히 이 언덕 하나 생겨 / 幸玆得一丘

정원도 채마밭도 손수 꾸몄더니 / 手自治園圃

내 심은 꽃 비단과 맞먹고 / 我花抵文綉

전골 육포 대신 茶 마시고 / 喫茶當脯

때로는 좋은 물고기도 먹는데 / 美魚時入吻

이는 주인이 그물 친 덕이라네 / 施罛賴賢主

산 언덕 의지해서 집을 짓고 / 縛屋依山阿

샘물 파고 진펄밭 개간하고 / 治泉拓榛楛

전답도 한 뙈기 사서 / 遂買田一稜

올해 찰벼를 심어보았더니 / 今年試種稌

닷말이나 거뜬히 수확하여 / 銍之得五斗

그것이면 식량도 족하다네 / 亦足餱糧補



골 깊어 인적은 뜸하고 / 深居少人跡

지나는 것이라곤 노루 사슴이라네 / 經過有麕麌

일천 권이나 많은 서책들만 / 書史一千卷

산골집에 가득 쌓여 있는데 / 縹緗照澗戶

육예만을 전공하느라고 / 專精攻六藝

四部 섭렵할 겨를이 없다네 / 未遑涉四部



알기 어려운 '주역'의 단상 뜻을 / 茫茫彖象旨

'3, 5'로 짝맞추며 연구하노라면 / 硏幾極參伍

마음이 더할 수 없이 즐겁고 / 至樂良在衷

때로는 나 자신 손뼉을 친다네 / 手掌時自拊



하늘이 내게 주신 탕목읍이 / 天畀湯沐邑

바로 이 탐진 포구에 있으니 / 乃在耽津浦

죽으면 의당 이 땅에 묻히면서 / 死當埋此地

가래 한 자루 동자에게 주면 되지 / 一鍤付僮豎

무엇하러 꼭 썩은 살을 끌고 / 何必曳朽胔

길손들에게 수모당하며 갈 것인가 / 苦受行路侮



요즘 들어서는 국화꽃이 / 邇來菊有華

찬란하게 담 주위에 피어 있고 / 璀璨繞垣堵

山에는 단풍마저 붉게 물들어 / 山葉亦酣紅

그윽한 산 정취 굽어볼 만한데 / 巖壑幽可俯



어떻게 해야지만 그대 소매 잡고 / 何由捉君袂

웃는 얼굴로 맑은 술잔 비우며 / 怡然酌淸酤

속에 쌓인 말 다 털어놓고 / 快寫胸中言

해묵은 병이 시원하게 낫도록 할까 / 頓令沈疴愈



[주]-도산陶山-송(宋) 육전(陸佃)의 호. 육전은 원래 왕안석(王安石)의 당이었으나 

왕안석이 신법(新法)을 들고 나오자, 그는 반대의사를 제시했기 때문에 왕안석의 신임을 받지 못하고 

오직 전례(典禮)에 관한 일만 맡았으며, 유독 詩에 능하여 당음(唐音)의 기풍이 있었음.

덧글 ()

박형상  / 2012-11-01-11:12 삭제
ㅡ너무 긴 글 자주 올려서 죄송합니다.

ㅡ앞의 두 글과 연결되는 내용이어서 기왕에 한꺼번에 올리게 되었습니다.

ㅡ널리 양해해주시길 바라며.....



........유배 10년째 <정약용과 이관기>..라지만 ..

........아직 우리들 나이보다 더 어린 시점입니다.

........정약용도 오죽하면 '저리 길고긴 한탄'을 했을까요....
나웅인  / 2012-11-01-11:26 삭제
그의 젊음에 절규가 참 애처롭습니다.

잘 읽었습니다.
송기병  / 2012-11-01-14:50 삭제
어느덧 또 11월이 되니 을씨년스럽기가 짝이 없네.

박변! 넘 다산에만 빠지지 마시고 자네 좋아하는 배호 노래나 부르면서 달래보세나.
박형상  / 2012-11-01-22:18 삭제
ㅡ'고흥 송배호'가 일품이던데....

연번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파일
28 ㅡ어떤 마지막 선택 (15) 박형상 2013/09/23 486  
27 정약용, 장다리꽃을 보던 시절 (12) 박형상 2013/07/26 313  
26 정약용과 '장다리꽃,채화' (31) 박형상 2013/07/15 329  
25 정약용-몽우일매-꿈속의 여인 (13) 박형상 2013/07/11 331  
24 ㅡ정약용과 '良友樂(1)' (14) 박형상 2013/04/15 325  
23 ㅡ정약용과 '약초(1)' (2) 박형상 2013/03/31 280  
22 ㅡ정약용과 '약초(2)' (0) 박형상 2013/03/31 284  
21 ㅡ정약용과 술(2) (11) 박형상 2013/03/27 363  
20 Re..ㅡ정약용과 술 (8) 박형상 2013/03/16 323  
19 ㅡ정약용과 '부추' (6) 박형상 2013/03/09 342  
18 정약용과 '처녀풍,소금비' (8) 박형상 2013/01/20 326  
17 창녕조씨,장흥조씨ㅡ조정통? (7) 박형상 2013/01/10 358  
16 창녕 조씨에 관한 어떤 한시? (5) 박형상 2013/01/10 309  
15 창녕 조씨 조석중 (7) 박형상 2013/01/10 323  
14 ㅡ그간에 모아둔 배호 詩 (7) 박형상 2012/12/16 376  
13 현재 보고 있는 게시글-정약용, 詩 '치교에게 보내다' (4) 박형상 2012/11/01 312  

맨처음이전 5페이지123다음 5페이지마지막